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꿀팁저장소

문화 충격인 일본의 한국 음식, 20년의 한류식품 역사 총정리

by 치키치키박 2025. 2. 2.
728x90
반응형

 

유튜브 / 일본식품비밀노트

 

일본에서의 한식 대중화

  • 한식의 대중화: 일본은 해외에서 한식이 가장 대중화된 나라로, 동아시아 문화권으로서 입맛이 잘 맞고 교류의 역사도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 최근 한류붐: 최근 4차 한류붐을 통해 한국 식품이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있다.
  • 한식의 변화: 20년 동안 한식의 트렌드는 시대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안정기에 접어들어 현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 이상한 해석: 일본에서 한식이 이상하게 해석된 음식들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한식의 역사적 배경

  • 자이니치 조선인: 한국 음식이 일본에 정착하게 된 시작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정착한 자이니치 조선인들이다.
  • 차별과 핍박: 이들은 차별과 핍박의 역사 속에서 마늘과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디아스포라 음식을 만들었고, 일본인들은 거부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 고기 요리의 발전: 일본은 오랜 기간 채식을 해왔으나, 1970년대 이후 고기 요리가 발달하게 되었다.
  • 일본에서의 한식 정착: 긴 입구 호르몬 같은 고기 요리가 일본인 입맛에 맞아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되었다.

일본에서의 한식 현지화

  • 한식의 발달 지역: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고베, 나고야, 후쿠카 등 한국인이 많은 지역에서 한식이 크게 발달하였다.
  • 짜장면의 예: 중국에서 짜장면을 먹는 이유는 중국식 짜장면이 별개의 음식으로 자리잡았기 때문이다.
  • 현지화 과정: 한국의 이미지와는 별개로 한식이 일본식으로 현지화되면서 일본식 한식이라는 장르가 생겨났다.
  • 일상 음식의 변화: 기무치, 기무치 나베, 멘타이코 등 일본에서 자주 찾는 음식들이 되었다.

한식의 변형과 일본식 한식

  • 변형된 개념들: 일본식으로 변형된 한식 개념들이 생겨났으며, 김무치의 매운 맛이 약해지고 숙성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 괴상한 음식들: 한국인들이 먹으면 밍밍하게 느껴지는 김무치와 같은 괴상한 음식들이 탄생하였다.
  • 이상한 용어 사용: 김치라는 음식을 빨간 양념으로 버무린 것으로 총칭하여 진미의 볶음을 '카키 무지'라고 설명하는 등의 이상한 용어가 생겼다.
  • 한국의 유사 현상: 한국에서도 오마카세와 같은 용어가 왜곡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한류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

  • 한류붐의 시작: 1차에서 4차에 걸친 한류붐을 통해 많은 한국 음식과 식품이 일본에 전파되었다.
  • 2000년대 초중반: 일본에서 한국 영화가 흥행하고, 2002년 보아가 오리콘 차트 1위를 달성하면서 한류가 시작되었다.
  • 겨울연가의 영향: '겨울연가'가 방영되면서 최초로 한류라는 사회 현상이 만들어졌다.
  • 중장년층의 한류: 초기 한류는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인식되었으며, 젊은 세대는 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류붐의 세대별 변화

  • 2차 한류붐: 2007년 동방신기, 빅뱅, 카라, 소녀시대 등의 한국 아이돌이 일본에 진출하면서 2차 한류붐이 발생하였다.
  • 한국 식품의 유입: 김, 막걸리, 간장계장, 삼계탕, 순두부, 삼겹살 등의 한국 식품들이 일본에 대거 유입되었다.
  • 한일 관계의 변화: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2012년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었다.
  • 혐한 우익의 목소리: 혐한 우익들이 대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한류가 마니아의 영역으로 떨어졌다.

혐한 우익의 반발과 한류의 위기

  • 2015년 방한 감소: 2015년에는 방한 일본인이 200만 명 밑으로 떨어지며 한일 관계가 냉랭해졌다.
  • 한류의 마니아화: 대중의 영역에서 마니아의 영역으로 다시 떨어진 시기로, 한류의 인기가 감소하였다.
  • 2017년부터의 변화: 2017년부터 BTS와 트와이스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다시 한류가 확산되었다.
  • SNS의 영향: SNS의 급속한 성장으로 한국의 가벼운 먹거리들이 일본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3차 신한류 붐의 시작

  • 청소년과 청년의 관심: BTS와 트와이스가 어린 청소년과 청년들 사이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 한국 먹거리의 유행: 시즈 닭갈비, 블락 볶음면, 달고나 커피, 감자 핫도그 등의 한국 먹거리들이 유행하였다.
  • 3차 신한류 붐: 이러한 현상은 3차 신한류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 문화적 교류의 확대: 한국의 문화가 일본 대중 사이에 공고히 스며들게 되었다.

코로나19와 한류의 확산

  • 코로나19의 영향: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일본에서도 한국 드라마와 영화 시청이 증가하였다.
  • 넷플릭스의 인기: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스', '사이코지만 괜찮아' 등의 한국 드라마가 넷플릭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 한류의 대중화: 기존의 특정 계층에 국한되던 한류가 일본 대중 사이에 확산되었다.
  •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잡음: 현재 한국 드라마를 보는 것이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잡았다.

한류의 대중화와 소비 변화

  • 소비층의 변화: 한국 식품이 대중화되면서 소비층이 젊어지고 있다.
  • SNS의 주도권: SNS를 통한 유행의 흐름 주도권이 한국으로 넘어오는 경향이 있다.
  • 디저트 분야의 변화: 전통적으로 일본이 강세였던 디저트 분야에서도 한국의 유행이 퍼져나가고 있다.
  • 브랜드의 성패: 브랜드나 상품의 성패가 SNS 전파력에 달려 있는 상황이다.

한국식 디저트의 일본 유행

  • 한국식 디저트의 인기: 설빙, 공차와 같은 한국식 디저트가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다.
  • 핫플레이스의 전파: 한국에서 유행하는 핫플레이스의 디저트들이 일본에서도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 약과의 유행: 최근 일본 젊은 세대에서 약과가 유행하고 있으며, 편의점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 한국의 인기 제품: 크루지 두바이 초콜릿 등 한국에서 인기가 있는 제품들이 일본에서 즉각적으로 반응을 얻고 있다.

미래의 한국과 일본 문화 교류

  • 문화의 거리 좁혀짐: 일본과 한국은 점점 더 거리가 좁혀져 서로를 닮아가고 있다.
  • 공통의 콘텐츠 소비: 같은 아이돌과 콘텐츠를 보며 살아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적극적인 교류: 앞으로도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기를 바란다.
  • 구독 요청: 영상 끝까지 봐주신 것에 감사하며, 일본 먹거리에 대한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제공할 것을 약속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