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사운드 (Game Sound) 1/NES

[NES] 악마성의 저주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사운드트랙 OST (Soundtrack)

by 치키치키박 2024. 6. 13.
728x90
반응형

Castlevania III: Dracula's Curse 悪魔城伝説 캐슬배니아3 : 드라큘라의 저주

 

 

 

 

 

 

일본판 게임 OST   (코나미 VRC6(VRC VI, Virtual Rom Controller VI 칩 이식판)

 

 

북미판 OST 

 

 

 

 

장르: 게임 OST

 

 

 

앨범소개글 (Album introduction)

 

악마성 드라큘라 거치형 본가 3번째 작품. 1989년 12월 발매. 발매 플랫폼은 패미컴(FC). 악마성 시리즈 중에서 손 꼽히는 명작 타이틀 중 하나. 악마성으로 가는 길을 선택할 수 있는 분기, 보스를 쓰러뜨리면 얻을 수 있는 동료, 데려갈 수 있는 동료를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스테이지나 보스 등, 지금으로 봐도 풍부한 요소가 준비되어 있다

 

 

 

음악과 사운드 (music and sound)

BGM 담당은 코나미 구형파구락부. 타이틀 화면에서 A+B 를 누른 채로 START를 누르면 BGM을 감상할 수 있다.

 

북미판은 이식과정에서 BGM 열화되었다. 일본판인 패미컴은 카트리지의 외부 사운드 칩을 지원해 코나미의 VRC6(VRC VI, Virtual Rom Controller VI) 칩을 심고 음악을 만들어서 패미컴이 맞나 싶을 수준의 엄청난 BGM을 들려줬지만, 패미컴의 해외 버전인 NES의 경우 닌텐도 아타리 쇼크의 재래를 막기 위해 NES용 카트리지를 타 회사에서 생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카트리지 내부에서 제공하는 확장 사운드 채널을 이용하는 기능도 막혀 있었다. 그래서 코나미에서 개발한 VRC6을 심지 못하고 그 대신 사운드 이외의 게임 처리는 비슷하게 따라갈 수 있는 닌텐도의 MMC5(Memory Management Controller 5) 칩으로 최대한 대신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물은 전형적인 8비트 음원이다.한마디로 북미판은 욕을 먹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발매 당시에는 이러한 사실이 쉽게 퍼지기 어려웠던 만큼 북미 쪽에선 일본판과 북미판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도 많고, 진실을 알고 나서야 뒷목잡는 사람들도 매우 많다. 참고로 젤다의 전설도 북미판으로 이식되는 과정에서 BGM이 열화되었다. 대신에 북미판은 시작시 이름 입력에 따른 비기가 있다.

 

 

 

북미판 포스터

 

 

크레딧 (Credit)

 

Produced By [작곡가]

마에자와 히데노리 (前澤ヒデノリ)
후나하시 준 (船橋淳)
모리모토 유키에 (森本ゆきえ)

 

 

Release Date [출시날짜]

1989년 12월 22일

 

 

내용참고

https://namu.wiki/w/%EC%95%85%EB%A7%88%EC%84%B1%20%EC%A0%84%EC%84%A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