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회주의의 등장 배경
- 18세기 시민 혁명과 산업 혁명 이후, 귀족과 평민이라는 신분 제도는 사라졌다.
- 그러나 이 세상의 계급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 새로운 계급으로 자본가와 노동자가 생겨났다.
- 극심한 빈부격차와 극악의 노동 착취 같은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세기 초에 사회주의라는 사상이 등장하였다.
초창기 사회주의의 시도
- 초창기 사회주의자들은 자본가의 선한 마음에 호소하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 예를 들어, **"당신 공장에서 일하는 수많은 노동자가 빵 한 조각 먹지 못하고 20시간씩 일하다 죽습니다"**라는 주장을 통해 자본가에게 호소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현실에서 통하지 않았다.
- 인간 본성을 과대 평가한 초창기 사회주의는 모두 실패하였다.
공상적 사회주의의 한계
- 마르크스와 앵겔스는 초창기 사회주의를 **"공상적 사회주의"**라는 멸칭으로 불렀다.
- 이들은 자본가의 선한 마음씨에 의존한 이론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 공상적 사회주의는 꿈 같은 이론으로 간주되었다.
- 마르크스와 앵겔스는 이러한 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였다.
마르크스와 앵겔스의 구분
- 마르크스와 앵겔스는 자신들이 주장하는 새로운 사회주의를 **"과학적 사회주의"**라고 명명하였다.
- 이들은 공상적 사회주의자들과 구분하기 위해 공산주의자라고 칭하였다.
- 과학적 사회주의는 자본가의 선한 마음에 의존하지 않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해 노동자들의 유토피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이들은 노동자들의 급진적인 혁명을 핵심 이론으로 삼았다.
과학적 사회주의의 개념
- 마르크스와 앵겔스는 초기 사회주의와 본인들의 과학적 사회주의를 분명히 구분짓기 위해 노력하였다.
-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별도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 이들은 자본가의 선한 마음에 의존하지 않고, 노동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과학적 사회주의는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공산주의의 정의와 목표
- 공산주의의 핵심 이론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해 노동자들의 유토피아를 만드는 것이다.
- 스탈린의 딸은 **"책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공산주의자가 되고, 몸으로 공산주의를 배우면 반공주의자가 된다"**고 말했다.
- 현재 공산주의도 초창기 사회주의 못지않게 공상적이라는 비판이 존재한다.
- 마르크스와 앵겔스는 공산주의의 목표를 명확히 하였다.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관계
- 일반적으로 공산주의는 사회주의 안에 포함된 개념으로 분류된다.
- 사회주의는 공장이나 토지 같은 생산 수단을 국가가 소유하는 경제 체제를 포괄한다.
- 공산주의는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이룬 노동자들이 생산 수단을 공동 소유하는 경제 체제이다.
- 여러 가지 사회주의 중에서 노동자의 혁명을 핵심으로 내세운 것이 공산주의이다.
공산주의자들의 관점
- 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를 공산주의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단계로 설명한다.
- 공산주의의 목표는 노동자가 스스로를 독재하는 완전한 평등 사회이다.
- 현실적으로 당장 달성하기 어려우니, 과도기적 단계로서 소수 정치 엘리트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이러한 소수 엘리트에 의한 사회가 사회주의로 간주된다.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구분 기준
-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구분하는 기준은 혁명의 주체이다.
- 사회주의자들은 자본가나 엘리트가 노동자를 위해 사회를 바꿔야 한다고 본다.
- 공산주의자들은 노동자가 혁명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두 번째 구분 기준은 공산주의자들의 관점으로, 사회주의를 공산주의의 전 단계로 본다.
- 세 번째 관점은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관점으로, 사회주의 안에 공산주의가 포함된다고 본다.
728x90
반응형
'잡다한이야기 > 꿀팁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 미술 5분 요약 (0) | 2025.03.27 |
---|---|
모든 주식 용어 6분 정리 (0) | 2025.03.27 |
세상의 모든 군사 전술 8분 정리 (0) | 2025.03.22 |
모든 사기 수법 1분 요약 (0) | 2025.03.19 |
인간의 모든 정신 질환 8분 정리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