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사운드 (Game Sound) 1/GEN

스트라이더 히류 (Strider Hiryū) 사운드트랙 OST(Soundtrack OST)

by 치키치키박 2024. 5. 12.
728x90
반응형

Strider Hiryū /  ストライダー飛竜 / 스트라이더 비룡

 

 

 

OST

 

 

 

 

장르: 게임  OST

 

 

 

 

앨범소개글 (Album introduction)

 

스트라이더 히류 시리즈의 첫 작품. CPS1 기반이며 1989년 3월에 출시되었다.

서기 2048년(혹은 명왕력 원년) 세계를 지배하는 명왕 그랜드마스터의 세계를 파멸로 이끌려는 음모를 저지하기 위해 스트라이더즈에서 특 A급 스트라이더인 히류를 파견하여 카자크 공화국, 시베리아, 공중전함 발로그, 아마존, 그리고 명왕의 본거지인 서드 문을 차례로 턴다는 설정으로 진행한다.

당시에는 보기 힘들었던 스피디한 게임 진행과 화려한 동작으로 시원하게 적들을 썰어나가는 히류의 강력함 등이 크게 어필되어 높은 평가를 받은 게임. 나름 인기있던 작품이었지만 개발의 난항으로 인해 오랫동안 후속작 개발이 보류되다 10년 후 정식 후속작 2편이 발매된다.

주인공 히류의 기본공격이 연사속도가 매우 빠른데 그래서 사실 내구도가 있는 적들도 연타만 빠르면 바로 처리가 가능하다. 보스들마저도 2초 안에 격파 가능하기에 보스전 이 별 의미가 없는 점은 아쉽다.

1편 시절부터 중간 데모화면에 음성지원이 됐는데(메가드라이브판에서는 구현되지 못했다), 히류는 일본어, 통푸는 중국어, 그랜드 마스터는 영어 등. 다들 다른 언어를 사용하지만 문제없이 의사소통이 되는 점이 신기하다.

일본 내수판 한정으로 히류가 공격 시 기합을 낸다.

아케이드판 발매 이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으며 특이할 만한 이식작은 패미컴판과 PC엔진판. 특히 PC엔진판은 스토리와 설정의 일부 변경, 오리지널 스테이지와 전문 성우에 의한 컷신 등이 특징이다. 스트라이더 히류 1의 이식작들을 정리한 영상. NES판은 2014년 리메이크와 비슷한 로그라이크형 액션 게임으로, 아케이드판이 나오기 전에 일본 패미컴판으로 나올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취소되고 아케이드판 출시 후 북미에서만 발매되었다. 어찌보면 이쪽이 오리지널 스트라이더 히류이며, 만화판과 스토리가 연동되어 스트라이더즈에서 은퇴한 히류의 스토리를 다룬다.

여담으로 캡콤이 직접 이식한 PS판을 제외할 경우 메가드라이브판이 꽤 높은 이식도를 보이는데, 모든 이식을 나카 유지가 혼자 해내었다고 한다. 이식도에 캡콤 관계자도 놀랐다고 심지어 자신들이 이식해도 이정도는 힘들었을 것이라고 극찬했다.

아케이드판의 경우 에뮬레이터 MAME로 플레이하는 부모롬에서 상당수의 곡이 1스테이지 곡인 Raid!로 재생되는데 개발기간 촉박으로 인해 벌어진 듯 하다.재판매판에는 제대로 각 스테이지 음악이 나오게 되었다. 메가드라이브판에서는 재판매판의 곡으로 반영되어 더 완성도있어 보이는 이유중 하나이며 재판매판에서와 다른 엔딩곡이 추가되었는데 이 엔딩곡은 수년 후 발매된 X68000판에서 캡콤이 역이식했다.

 

화려한 그래픽과 독특한 배경음악로 큰 인기를 끌어 스트리트 파이터 II 이전 캡콤 최고의 아케이드 작품들 중 하나로 꼽혔다.

 

 

음악과 사운드

 

작곡가는 타미야 준코. 패미컴쪽 캡콤 게임들 위주로 작곡하던 인물로, 스위트 홈, 2010 스트리트 파이터, 바이오닉 코만도 히틀러의 부활 등의 아는 사람은 아는 명작들이 대표작이다. 스트라이더 히류 작곡 이후 얼마 안되어 아예 게임 음악계를 떠났으나 최근 페이스북과 인터뷰 등을 통해 나중에라도 기회가 주어지면 게임 음악쪽 활동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일본판
북미판
한국판

 

 

크레딧 (Credit)

 

Produced By [작곡가]

Junko Tamiya

 

 

Release Date [출시날짜]

아케이드판

1989년 3월 7일

 

Mega Drive/Genesis
JP: September 29, 1990
NA: November 5, 1990

 

 

 

참조내용: 나무위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