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밴드의 시작과 첫 앨범
- 바론 파의 전신: 카라스 플라워스 고등학교 친구 네명이 결성한 그런지 밴드.
- 앨범 발표: 포스트 그런지 스타일의 셀프 릴리즈 앨범을 발표하며 작은 공연장을 돌았음.
- 프로듀서와의 계약: 프로듀서 토미 앨런과 작고가 존 디 니콜라의 눈에 띄어 리프라이즈 레코즈와 계약 체결.
- 첫 앨범 발매: 1997년에 첫 앨범 더포스 월드를 발매함.
첫 앨범의 실패와 멤버들의 변화
- 앨범의 성과: 음악적으론 준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대중적으로는 외면당함.
- 판매량: 총 음반 판매량이 천장이라는 초라한 성적을 남김.
- 멤버들의 결정: 원금 회수조차 어려워진 멤버들은 결국 레이블을 떠나 학업에 집중하기로 결정함.
- 음악적 변화: 애덤과 제시는 동부에서 흑인 어반 사운드에 매료되어 새로운 음악적 세계를 탐구함.
새로운 음악적 방향과 재결합
- 재결합의 제안: 두 사람은 캘리포니아에 있는 친구들에게 연락하여 다시 뭉치자고 제안함.
- 팀의 재결합: 라이언과 미키가 흥쾌히 받아들여 카라스 플라워스 이름으로 다시 합체함.
- 음악 스타일 변화: 동부에서 접한 신문물을 기존 록 사운드에 이식하여 새로운 음악적 방향을 모색함.
- 레이블 탐색: 새로운 레이블을 구하기 위해 데모 음원을 제작하고 여러 레이블에 제출함.
마룬 파이브로의 리브랜딩
- 팀명 변경: 기존 팀컬러를 지우기 위해 팀명을 마룬 파이브로 변경함.
- 세션 기타리스트 영입: 프론트맨 애덤이 보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세션 기타리스트 제임스 밸런타인을 영입함.
- 흑인 음악 탐구: 리더 애덤은 뉴욕에서 흑인 음악을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함.
- 음악적 기초: 힙합, 소울, R&B, 펑크를 뿌리부터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첫 앨범 송서 아웃 제인
- 첫 앨범 발표: 마룬 파는 공위 시즌에 정규 1집 송서 아웃 제인으로 데뷔함.
- 가사 주제: 애덤의 전여친 제인에 관한 가사로 일관되며, 불안정한 관계를 다룸.
- 관능적인 폭발: 애덤의 관능적인 폭발과 세련된 음악이 잘 어우러짐.
- 프로덕션: 흑인 음악과 백인 음악이 적절히 공존하는 프로덕션으로 성공적인 첫 앨범을 완성함.
첫 앨범의 성공과 투어
- 앨범의 히트: 발매 직후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좋지 않았으나, 다양한 매체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함.
- 투어 활동: 1년 6개월 이상 미친 듯이 투어를 다니며 음악의 인지도를 높임.
- 판매량 기록: 2004년에 빌보드 206위, 빌보드 하백의 네 개의 트랙 안착, 전 세계 음반 판매량 약 천만 장 이상을 돌파함.
- 그래미 수상: 그래미에서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하며 대형 신인 반열에 오름.
두 번째 앨범과 소프모어 징크스
- 두 번째 앨범 발표: 2007년 5월, 두 번째 정규 앨범을 공개함.
- 안전 지향적 선택: 전작과 비슷한 무대의 후속작으로 컴백하였으나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음.
- 음악적 구현: 전작의 디스 러브와 시보를 이어 흑인 음악의 펑키한 그루브와 록 사운드의 조화를 이루려 함.
- 구성미 유지: 전작의 구성미를 충실히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계승함.
세 번째 앨범의 제작과 반응
- 세 번째 앨범 작업: AC/DC, 데프레파드, 샤니아 트웨인 등과 협업하여 앨범 작업을 진행함.
- 프로듀서의 역할: 베테랑 프로듀서 로버트 존 랭이 앨범의 조타수 역할을 맡음.
- 완성도: 대중적인 팝록 사운드와 정돈된 프로덕션으로 균형 잡힌 음악의 뼈대를 형성함.
- 비판: 기본적인 완성도에 충실하려 한 탓에 신선함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음.
음악적 방향 전환과 새로운 시도
- 시대의 흐름: 2010년대에 접어들어 록 밴드의 쇠퇴와 댄스 팝의 대세를 인식함.
- 프로듀서 모집: 해당 장르에 특화된 1티어 프로듀서들을 모집하여 음악적 방향을 전환함.
- 스튜디오 프로덕션 중심: 마룬 파이브의 음악이 밴드 사운드에서 스튜디오 프로덕션 중심으로 변화함.
- 상업적 성공: 커리어 역대 최고의 머니 머신을 만들어냄.
앨범 '조르'와 팀의 슬픔
- 조던의 죽음: 애덤의 오랜 친구이자 밴드의 매니저였던 조던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남.
- 슬픔의 표현: 멤버들은 깊은 슬픔에 잠기고, 조던을 기억하기 위한 앨범 제작을 결정함.
- 앨범의 취지: 조던을 추모하기 위한 좋은 취지로 만들어졌으나 외부의 평가는 냉혹함.
- 상업적 의존: 앨범이 상업적인 공식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었음.
조르 앨범의 비판과 상업적 성과
- 비판의 내용: 협업에도 불구하고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상업적 공식에 의존한다는 비판이 있었음.
- 상업적 성공: 뷰티풀 미스테이크, 메모리스가 히트하며 상업적 지표에서 성공을 거둠.
- 미래에 대한 우려: 앨범이 마룬 파이브의 존재 의의를 찾기 어렵게 만들었음.
- 악재의 겹침: 애덤의 라이브 실력 문제와 여러 논란이 겹치며 팀의 이미지가 하락함.
마론 파이브의 현재와 미래
- 팬층의 존재: 스포티파이 기준 월간 리스너 수가 6,500만 명에 달함.
- 대중적 사랑: 오랜 시간 동안 범 대중적인 사랑을 받아온 밴드임을 보여줌.
- 음악의 힘: 마룬 파이브는 여전히 음악이 가장 강력한 무기인 밴드임.
- 미래의 기대: 위기를 딛고 다시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을 앨범과 무대로 돌아오기를 기대함.
728x90
반응형
'음악(Music) > 음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ro', 'N*gger', 'N*gga'의 차이와 N워드의 역사 (0) | 2025.03.16 |
---|---|
그가 남기고 간 것들ㅣ휘성(Realslow) (0) | 2025.03.16 |
지디의 정규 3집이 호불호 갈리는 이유 (0) | 2025.03.16 |
너무 빨리 떠나버린 아름다운 목소리 : 미니 리퍼튼 (1) | 2025.02.24 |
KPOP 아이돌 노래 데모곡 (SM 외국 작곡가) PART1 (2)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