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 사운드 (Game Sound) 1/NES

[NES] 파이널 판타지 III (Final Fantasy 3) 사운드트랙 OST (Soundtrack)

by 치키치키박 2024. 6. 17.
728x90
반응형

Final Fantasy III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III

 

 

OST

 

 

 

 

장르: 게임 OST

 

 

 

앨범소개글 (Album introduction)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3번째 작품이자 시리즈 첫 밀리언 셀러.

단순히 타 RPG 작들의 아류 내지는 모방품으로 여겨졌던 파이널 판타지 파이널 판타지 II와 달리, 확실히 독자적인 개성을 지닌 시리즈로 평가받는 작품. 이 작품 이후로 해당 시리즈를 관통하는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이는 슈퍼 패미콤 플랫폼에서 발매된 파판 시리즈에서 더욱 발전하게 된다.

최초로 잡 체인지 시스템을 소개했으며 그에 따라 총 18+2종의 잡을 가지고 자기 취향별로 파티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직은 전투를 제외한 어느 때나 가능하며, 잡 레벨이 올라갈수록 공격력이나 마법 대미지가 올라간다. 또한 최초로 기술의 개념이 등장하여, 전사 계열도 모으기나 점프 같은 필살기로 대미지를 입힐 수 있어서 각 직업마다 특징이 부각되었다. 최초로 소환마법이 등장한 시리즈이기도 하며, 이 부분은 당대 최고의 인기를 자랑하던 드래곤 퀘스트 3에서 상당 부분 차용된 것이다.

한국에서도 패미컴 시리즈 중에서는 III의 인지도가 가장 높다. I, II의 경우 물량이 거의 없다시피 했고 III의 경우는 그래픽이 다른 게임들보다 진일보해서 플레이하기 한결 편했다는 점도 작용했다. 슈퍼패미컴용 파이널 판타지 IV 파이널 판타지 V가 인기를 끌 때에도 패미컴밖에 없는 유저들에게 대체재로 많이 소비되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슈퍼패미컴부터 비싼데 팩 가격은 안드로메다로 갔던 시절이기 때문. 2019년 말에도 10만원짜리 패키지 게임이라고 하면 기함할 텐데 90년대 초중반에 그런 가격을 받았다. 어지간한 가정 환경으론 엄두도 안 났을 터. 그러나 게임 자체의 난이도가 높았고 무엇보다 잡 체인지의 캐퍼시티 시스템이나 장비 해제를 몰라서 진행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종던전이 매우 길다는 것으로도 당시 꽤 유명했는데, 리메이크를 제작하며 설문조사를 했더니 대부분의 유저들이 최종던전은 원작처럼 세이브 포인트 없이 길게 만들라 했다고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속도면에서는 보다 우수한 기기에서 제작된 후속작들보다 더 나았다. 특히 비공정 노틸러스호의 경우 제어가 쉽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이동이 가능했다.

III는 I&II와는 달리 한참동안 리메이크작이 없었다. 원더스완으로 리메이크의 발매가 예정되었으나 취소되었고, 2000년도의 최초 발표 이후 한참 지난 2006년 8월에 NDS로 리메이크 됐다. 이후 이 NDS판이 2011년 3월에 iOS로, 2012년 3월 1일에 안드로이드로 이식되었고, 2013년 12월 27일에 Windows Phone으로 이식되었다.

이식이 잘 되지 않았던 이유로는 "FC판 FF3는 메인 프로그래머인 나샤 지벨리가 버그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있는데 (나샤의 프로그램은 그만큼 심각한 버그도 많았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패미컴 게임을 상위 기종으로 이식을 못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 비공정 고속 이동만 해도 동일 사양인 파판2가 그리고 슈퍼패미컴 게임인 파판4가 원더스완으로 이식된 것을 보면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짜 이유는 그냥 제작진이 I, II처럼 단순이식을 하기 싫어했고, 원더스완판에서 테스트를 했을때 하드웨어의 한계와 용량 부족에 부딪혔다고 밝혔는데, 결정적으로 I, II 리메이크의 판매량이 별로였기 때문이였다는 후문이 있다. 실제로 III의 2D 리메이크 버전은 잡지에 사진까지 실렸었다고 한다. 이후 원래 계획되었던 2D 리메이크는 2021년 7월 29일에 "픽셀 리마스터"의 형태로 발매될 예정이다.

이외에 팬이 만든 FF3.5도 있는 모양.

 

 

 

 

음악과 사운드(music and sound)

짧지만 늘어지지 않고 중독성이 강한 멜로디로 명곡이 많다. 각종 효과음도 박력이 넘친다.

 

 

크레딧 (Credit)

 

Produced By [작곡가]

우에마츠 노부오

Nobuo Uematsu

 

 

Release Date [출시날짜]

1990년 4월 27일

 

 

 

내용참고

https://namu.wiki/w/%ED%8C%8C%EC%9D%B4%EB%84%90%20%ED%8C%90%ED%83%80%EC%A7%80%20II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