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Music)/음악이야기

'위켄드' 로 이룰 건 다 이루었도다✌️ I 어둠의 R&B 제왕, 위켄드 The Weeknd 이야기

by 치키치키박 2025. 3. 16.
728x90
반응형

유튜브/ 뮤직메카

 

 

위켄드의 출생과 어린 시절

  • 본명: 위켄드의 본명은 에이블 테스이다.
  • 가족 배경:
    • 부모님은 에디오피아에서 살다가 내전과 기근 등의 이유로 캐나다로 이민을 왔다.
    • 에이블은 몬트리올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어린 시절에 가정을 떠났다.
  • 양육 환경:
    • 에이블은 어머니와 외할머니의 보살핌 속에서 자랐다.
    • 어머니는 투잡, 쓰리잡을 하며 일했고, 외할머니가 에이블을 돌보았다.
  • 언어 습득:
    • 에이블은 외할머니에게서 아마라라는 에디오피아 언어를 배우고, 학교에서는 프랑스어만 사용했다.
    • 이로 인해 영어를 제대로 배우지 못해, 위켄드 초창기 활동 시 신비주의 컨셉을 유지하게 되었다.

어린 시절의 외로움과 영화

  • 외로움의 원인: 에이블은 어린 시절 외로움을 느꼈고, 이를 달래기 위해 TV 영화를 많이 시청했다.
  • 영화의 영향:
    • 훗날 위켄드는 자신의 음악을 설명할 때 영화의 내용을 인용하는 습관이 생겼다.
    • 그의 음악은 영화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는 특징이 있다.

고등학교 자퇴와 방탕한 생활

  • 학교 생활:
    • 에이블은 학창 시절 여러 사고를 쳐서 여러 학교에서 쫓겨났다.
    • 결국 17세에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집을 나와 친구들과 함께 살게 되었다.
  • 친구와의 관계:
    • 고등학교를 자퇴한 친구는 그의 레이블 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라마르 테러이다.
    • 라마르는 에이블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가 음악을 하도록 북돋아 주었다.
  • 생활 환경:
    • 에이블은 복지 수당을 받으며 원룸 아파트에서 친구들과 함께 살았다.
    • 이 시기에 도둑질, 싸움, 마약 등 방탕한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음악 활동의 시작과 약물 의존

  • 음악에 집중: 방탕한 생활 끝에 에이블은 아메리칸 어페럴 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음악에 집중하게 되었다.
  • 예명: 그는 주말에 집을 나와 위드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 자신감 부족:
    • 위켄드는 처음에 자신의 목소리와 비주얼에 자신감이 없었다.
    • 친구들의 격려로 노래를 시작했지만, 약물에 의존하게 되었다.
  • 초창기 음악:
    • 초창기 작품들은 마약에 많이 의존했으며, 과거 방황했던 시절의 경험이 담겨 있다.

위켄드의 초기 음악 경향

  • 유튜브 업로드: 2009년 8월, 위켄드는 자신의 음악을 익명으로 유튜브에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 프로듀서와의 만남: 2010년, 친구를 통해 제레미 로즈라는 프로듀서를 만나게 된다.
  • 음악적 견해 차이: 제레미 로즈와의 협업은 음악적 견해 차이로 인해 갈라지게 되었지만, 그가 쓴 세 곡을 허락받아 유튜브에 올리게 된다.
  • 주목받기 시작: 이로 인해 위켄드는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드레이크와의 관계

  • 드레이크의 지원: 위켄드는 같은 토론토 출신의 슈퍼스타 드레이크에게 샤라웃을 받았다.
  • 드레이크의 앨범 참여: 드레이크는 위켄드를 자신의 앨범의 프로듀서로 참여시켰다.
  • 관계의 복잡성: 두 사람의 관계는 애증의 관계로, 서로의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감사함 표명: 위켄드는 드레이크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감사함을 표했다.

첫 믹스테입과 평단의 반응

  • 첫 믹스테입 공개: 2011년, 위켄드는 첫 믹스테입 하우스 오브 밸런스를 인터넷에 무료로 공개하였다.
  • 평단의 주목: 이 믹스테입은 새로운 R&B 시대를 열며 평단의 큰 주목을 받았다.
  • 익명성 유지: 위켄드는 외모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인터뷰를 거절하며 익명으로 활동하였다.
  • 신비주의 컨셉: 사람들은 위켄드가 솔로인지 그룹인지 모를 정도로 신비주의 컨셉을 유지하였다.

어두운 주제의 음악과 찬사

  • 어두운 주제: 위켄드는 세 장의 믹스테입에서 마약, 섹스, 우울증 등의 어두운 주제를 다루었다.
  • 음악적 스타일: 그의 음악은 전자음악, 드림팝, 포스트펑크, 트리팝, 인디록 등의 다양한 장르를 활용하였다.
  • 비평가들의 찬사: 위켄드의 믹스테입은 각종 매체에서 큰 찬사를 받았다.
  • PBR R&B 시대의 시작: 위켄드를 기점으로 PBR R&B와 얼터너티브 R&B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주류 음악으로의 진입

  • 데뷔 앨범 발매: 2013년 9월, 위켄드는 메인스트림 데뷔 앨범 키스 랜드를 발매하였다.
  • 앨범의 컨셉: 이 앨범은 일본에서 느낀 이질감과 여러 감독들의 작품의 영향을 받았다.
  • 상업적 성과: 발매 첫 주에 2위에 오르며 얼터너티브 R&B의 주류 음악으로서의 시작을 알렸다.
  • 비교적 낮은 성과: 그러나 이전 믹스테입과 비슷한 컨셉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두 번째 앨범의 팝적 전환

  • 뷰티 비하인드 매드니스: 두 번째 앨범은 대놓고 팝적인 사운드를 지향하였다.
  • 프로듀서와의 협업: 맥스 마틴과 작업하여 90년대부터의 히트곡을 만들어냈다.
  • 마이클 잭슨의 영향: 위켄드의 목소리에서 마이클 잭슨의 영향력이 대놓으로 느껴졌다.
  • 상업적 성공: 이 앨범은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뷰티 비하인드 매드니스의 성공

  • 상업적 성과: 뷰티 비하인드 매드니스는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였다.
  • 싱글 차트 성과: 싱글 **"The Hills"**는 차트 1위에 오르며 2015년 가장 히트한 앨범이 되었다.
  • 대중성과 음악성: 이 앨범은 대중성과 음악성을 모두 잡으며 R&B를 넘어 한 시대의 팝스타로 자리매김하였다.
  • 프린스와의 연결: 2015년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에서 프린스에게 상을 수상받았다.

스타보이와 레트로 사운드

  • 세 번째 앨범 발매: 2016년에 발매된 스타보이는 80년대 사운드를 재현하였다.
  • 영감의 원천: 이 앨범은 데이빗 보이 프린스에게 영감을 받았다.
  • 다프트 펑크와의 협업: 다프트 펑크와 협업하여 레트로한 팝 사운드를 선보였다.
  • 상업적 성공: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대중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에프터 하우스와 새로운 시도

  • 네 번째 앨범 발매: 2020년 3월, 에프터 하우스가 발매되었다.
  • 음악적 다양성: 신스팝, 뉴웨이브, 드림팝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앨범이다.
  • 과거와 현재의 조화: 과거의 다크한 감성과 현재의 팝적인 감성이 조화를 이루었다.
  • 맥스 마틴과의 협업: 초창기 사운드의 핵심 프로듀서인 맥스 마틴과 함께 작업하였다.

던 FM과 희망의 메시지

  • 컨셉 앨범: 던 FM은 쾌락적인 삶을 후회하고 희망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앨범이다.
  • 시네마틱한 요소: 배우 짐 캐리가 라디오 DJ로 등장하여 시네마틱한 요소를 더하였다.
  • 80년대 음악의 영향: 80년대 댄스와 신스팝 음악이 가득한 앨범이다.
  • 메시지 전달: 전체적인 유기성이 뛰어나며 메시지 전달이 확실하다.

디 아이돌의 실패와 결심

  • 드라마의 실패: HBO 드라마 디 아이돌이 처참하게 망하게 되었다.
  • 연기와 공연: 위켄드는 자신의 공연을 중단하고 불을 지르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 페르소나의 종말: 위켄드는 자신의 페르소나를 죽이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
  • 미래의 음악: 에이블 테스 페이로서 어떤 음악을 시도할지에 대한 기대가 크다.

페르소나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 부작의 마무리: 에이블 테스 페이는 부작의 마지막 앨범을 준비하고 있다.
  • 앨범 제목의 의미: 리업은 해가 뜨고 난 후의 시간을 의미한다.
  • 주제의 변화: 이전의 자기 반성과 성찰에서 낙원과 천국을 기다리는 주제로 변화하였다.
  • 음악적 실험: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통해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