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음향(Sound)/음향 이야기52

음향이론18. 차음 (sound insulation) 차음  (sound insulation) 소리적 으로 '차음'  (sound insulation)은 음을 이루는 주파수의 차이 (차이음) 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두 개 이상의 음이 함께 울릴 때, 각각의 음이 만드는 주파수의 차이가 클수록 차이음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음계의 두 음을 동시에 울리는데, 한 음의 주파수가 440Hz이고 다른 음의 주파수가 554Hz이라면, 이 두 음 사이의 주파수 차이는 114Hz이므로, 이것은 차이음에 해당합니다. 공간음향적 기술 으로는 '차음'은 소리가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외부 소음이나 인접한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들리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차음을 위해서는 먼저 소리의 전달 경로를 차단하거나, 소리를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하여 소리가 .. 2023. 4. 19.
음향이론17. 베이스트랩 (Bass Trap) , 멤브레인(Membrane) 베이스트랩  (Bass Trap)베이스 트랩(Bass Trap)은 저역대의 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 처리 장치입니다. 주로 저역대의 음향이 축적되는 방의 모서리나 벽면 등에 설치되며, 공명 주파수와 방의 공명 주파수를 일치시켜 음파를 흡수하여 음향의 공명을 억제합니다. 음향 베이스 트랩은 주로 음향 스튜디오,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며, 음질 개선과 음향 잡음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향 베이스 트랩이 있으며, 설치 방법, 크기, 형태, 재질 등에 따라 음향 처리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멤브레인  (Membrane)멤브레인(Membrane)은 얇은 막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에서는 세포막(cell membrane)을 뜻하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 얇은 막으로 .. 2023. 4. 18.
음향이론16. 헬름홀쯔 공명기 (Helmholtz resonator) , 유공 흡흠판 (Helmholtz resonator panel) 헬름홀츠 공명기 정의 (Helmholtz resonator Definition)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는 공기 질량의 공진 주파수와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할 때, 구조물 내부의 공기 진동이 증폭되는 현상을 이용한 소리 차단 장치입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일반적으로 구멍이 뚫려있는 상자 모양의 장치로, 상자 내부의 공기 질량과 상자의 크기, 구멍의 크기와 위치 등의 요소가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게 됩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주로 저주파수 범위에서 효과적이며, 스튜디오, 콘서트 홀, 영화관 등에서 사용되며, 일부 차량 내부 소음 차단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로마 시대의 유적지에서도 발견된다는 헬름홀쯔(.. 2023. 4. 17.
음향이론15. 방음 (Soundproofing) , 음 투과 손실율(Sound Transmission Class) 방음 정의 (Definition) : 데퍼니션  *방음(Soundproofing)**은 외부의 소리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이는 음향이 발생한 장소 내의 소리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는 것도 포함됩니다. 방음을 위해서는 재질의 흡음성, 공기 중의 진동, 공기의 흐름, 공간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방음재료를 사용하여 벽면, 천장, 바닥 등에 부착하거나 적층시켜 방음 효과를 높입니다. 또한, 사운드프루핑(Soundproofing) 기술을 이용하여 소리를 차단하는 것도 방음에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방음은 주로 스튜디오, 콘서트 홀, 공연장, 녹음실, 영화관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외에도, 가정집에서는 방음 시공을 통해 외부의 .. 2023. 4. 16.
음향이론14. 잔향 (Reverberation) , 잔향 시간(Reverberation Time) 잔향(Reverberation)은 음악이나 음성이 발생한 후, 장소 내 벽면, 천장, 바닥 등에서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면서 생기는 음향의 반향을 말합니다.  음악이나 음성이 발생한 후, 먼저 발생한 음파는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잔향은 반사되어 몇 초 이내에 여러 번 반복되어 들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잔향은 공간의 크기, 재질, 모양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잔향은 음향 기기나 녹음 스튜디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음향 기기에서 재생된 음악이나 음성은 잔향 효과를 적용하여 더욱 생동감 있게 들리도록 처리됩니다.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잔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공간감을 더해주는 등의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잔향은 음악이나 음성의 명료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2023. 4. 11.
음향이론13. 공간의 모양(shape of space) 공간음향 이론에서 "공간의 모양 (Shape of Space)"은 음향이 전달되는 공간의 형태와 구조를 의미합니다.  공간의 모양은 음향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방의 크기, 형태, 재료, 가구 배치 등에 따라 음향의 반사, 흡수, 감쇠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간의 모양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하여 음향을 최적화시키는 것은 공간음향 이론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공간의 모양에 따라 음향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음향 기술에서는 이를 고려한 설계와 조정이 필요합니다. "Shape of Space"는 이러한 공간의 모양을 분석하여 최적의 음향 조건을 조성하는 공간음향 이론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섬세하고 정확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023. 4. 10.
음향이론12. 역제곱의 법칙(Invers Square Law) 역제곱의 법칙(Inverse Square Law)은 음향, 빛, 전자기파 등의 파동이나 방사성 물질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즉, 파동의 진폭이나 방출되는 에너지는 거리가 두 배 멀어질 때마다 1/4로 줄어듭니다. 이는 파동의 진폭이나 방출되는 에너지가 일정한 면적을 통과할 때, 면적이 4배 커지면 파동의 진폭이나 방출되는 에너지가 1/4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법칙은 음향학, 광학, 전자기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이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떨어지는 동전을 받으려고 할 때, 동전이 떨어지는 위치에서는 비교적 큰 소리가 나지만, 사람이 떨어지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소리는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거리가 멀어질.. 2023. 4. 8.
음향이론11. 공진(Resonance) 과 정재파(Standing Wave),룸모드 (Room Mode) 공진(resonance)은 어떤 시스템이 특정한 주파수의 외력을 받을 때, 시스템 내부의 진동이 크게 증폭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주파수가 일치할 때 일어나며, 시스템의 진동이 크게 증폭되기 때문에 음향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음향학에서 공진은 예를 들어, 악기의 공명(resonance)이나 건물의 공명 등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악기의 경우에는 고유진동수와 악기 내부의 공기 질량, 악기의 형태 등에 따라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나며, 이를 바탕으로 악기의 음색이 결정됩니다. 건물의 경우에는 건물의 크기, 형태, 재료 등이 고유진동수를 결정하며, 특정한 주파수에서 건물 내부의 공기나 구조물의 진동이 증폭되어 큰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 2023. 4. 5.
음향이론10. 공간음향 (Room Acoustics),음장(sound field),자유음장(free field)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서는 공간음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공간음향은 어디서든 우리의 삶과 문화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공간음향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서 소리의 질감, 명료도, 음량 등이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는 곧 우리가 소리를 듣고 느끼는 방식을 좌우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간음향의 중요성과 함께, 공간음향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되는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간음향 (Room Acoustics) : 룸 어쿠스틱   소개  기원전 1세기 로마의 건축가 마르쿠스비트루비우스 폴리오는 자신의 ‘건축론’에서 소리가 울리지 않고 잘 전파되는 형태인 야외 원형 음악당을 설계해 제안했습니다. 그 후로 많은 수학자와 과학자들이 이 음향학(Acoustics.. 2023. 4. 2.
음향이론9. 청각피질 (Auditort Coterx) , 마스킹 효과,칵테일 파티 효과,청각주의사항 청각피질 Auditory Cortex  : 오디토어리 코어텍스 실제 귀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이전에 설명된 청각기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 된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작동합니다. 이것은 심리음향의 부분입니다. 청각피질은 대뇌 피질의 일부로,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구조물입니다. 청각피질은 두 개의 주요 구역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일차 청각피질로, 이곳에서는 청각 신호가 받아들여지고, 주파수, 진폭, 음압 등의 특성이 분석됩니다. 두 번째는 이차 청각피질로, 이곳에서는 청각 신호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언어, 음성 등과 같은 차원에서 더 복잡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청각피질은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청각 신호를 통해 우리가 언어, 음악, 소리 등을 인식하고 이해.. 2023. 3. 31.
음향이론8.귀 (Ear) 귀는 우리 몸에서 소리를 인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귀는 크게 외이도,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선 외이도는 귀를 보호하고 소리를 집중시켜 중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중이는 공기와 고체에 대한 진동을 인지하고, 내부 구조물을 통해 이를 전달하고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중이는 고체인 청각뼈(해부학적으로는 고유의 이름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청각뼈로 통칭됩니다)의 진동으로 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내이로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내이는 청각신경을 통해 들어온 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이 안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감각세포가 있으며, 이들이 진동에 반응하여 신호를 생성합니다. 이 신호는 청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해석하여 우리가 듣는 소리로 인식합니다. .. 2023. 3. 25.
음향이론7.소리의 성질 (nature of sound) 굴절/회절/반사/흡음률/확산 소리의 성질 (nature of sound) : 네이처 어브 사운드 소리는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동입니다. 이러한 파동은 주기적으로 일어나며, 파동의 주기는 소리의 높낮이를 결정합니다. 또한, 소리의 세기는 파동의 진폭에 비례합니다.소리는 공기 중을 전파하며, 공기 분자들이 소리의 파동에 따라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전달됩니다. 이러한 압축과 팽창은 소리의 진폭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소리는 또한 음파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음파는 공기 중을 통해 전파되어 우리 귀에 도달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음파를 인식하여 소리를 듣게 됩니다.소리의 높낮이는 주파수로 측정되며, 이를 통해 음계와 음색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높은 주파수는 높은 음계를, 낮은 주파수는 낮은 음계를 나타냅니다. 또한, 주파수의 .. 2023. 3. 24.
음향이론6.배음 (Harmonics) 배음 (Harmonics) : 하모닉스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사인파(음향에서 순음,pure Tone이라고도 부른다) 를 스피커에 출력 시켜 보면 스피커가 일정하게 앞/뒤로 진동하면서 그 소리를 만드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그러나 사인파 이외의 소리를 입력하면 스피커의 움직임이 아주 불규칙하다는 것도 알 수 있어요. 또 들리는 소리도 일정한 사인파의 소리와는 아주 다른 소리가 나와요. 이것은 음향에서 각기 다른 소리가 가지는 음색(Tone)이라고 말하는 부분이에요. 같은 음높이, 다시 말해 동일한 진동수를 가지는 소리도 서로 다른 음색을 가질 수 있어요. 이는 각각 서로 다른 음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같은 440Hz의 A라는 음정으로 연주된 피아노의 소리와 기타의 소리가 전혀 다른 것은.. 2023. 3. 19.
음향이론5.주파수 응답 (Frequency response) 주파수 응답 (Frequency response) :  프리퀀시 리스판스.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은 오디오 시스템이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얼마나 정확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비유하면, 요리사가 각종 식재료를 사용하여 요리를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각각의 식재료는 고유한 맛과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조리 방법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내어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도 오디오 시스템이 다양한 음색과 음향 효과를 내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여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을 평가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주파수 응답이 평탄할수록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구성을 유지하게 되며, 오디오 시스템이 입력.. 2023. 3. 17.
음향이론4.동적 범위 (다이내믹 레인지) 와 헤드룸 /피크레벨 과 노이즈 플로어 지난 게시물을 먼저 보시고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음향이론1. 소리의정의 / 소리의 전달과정 / 소리의 빠르기(속도) / 위상 / 읍압과 음색 / 등청감곡선 (tistory.com)음향이론2.소리의크기 DB (데시벨) 에 대해 알아보자. (tistory.com)음향이론3.위상(phase) . 위상 차(Phase Difference) 에대해서 / 위상 간섭 / 위상 동조 (tistory.com)  음향이론3.위상(phase) . 위상 차(Phase Difference) 에대해서 / 위상 간섭 / 위상 동조위상은 진동에서 시간과 관련된 개념으로, 특정 시점에서의 진동의 위치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음향 분야에서는 주로 파동의 위상을 다루며, 파동의 위상은 파동이 시작되는 시점에서의 상대적chikichikipa..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