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이론17. 베이스트랩 (Bass Trap) , 멤브레인(Membrane)
베이스트랩 (Bass Trap)베이스 트랩(Bass Trap)은 저역대의 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 처리 장치입니다. 주로 저역대의 음향이 축적되는 방의 모서리나 벽면 등에 설치되며, 공명 주파수와 방의 공명 주파수를 일치시켜 음파를 흡수하여 음향의 공명을 억제합니다. 음향 베이스 트랩은 주로 음향 스튜디오, 공연장 등에서 사용되며, 음질 개선과 음향 잡음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향 베이스 트랩이 있으며, 설치 방법, 크기, 형태, 재질 등에 따라 음향 처리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멤브레인 (Membrane)멤브레인(Membrane)은 얇은 막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에서는 세포막(cell membrane)을 뜻하며, 세포 내부와 외부를 나누는 얇은 막으로 ..
2023. 4. 18.
음향이론15. 방음 (Soundproofing) , 음 투과 손실율(Sound Transmission Class)
방음 정의 (Definition) : 데퍼니션 *방음(Soundproofing)**은 외부의 소리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이는 음향이 발생한 장소 내의 소리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는 것도 포함됩니다. 방음을 위해서는 재질의 흡음성, 공기 중의 진동, 공기의 흐름, 공간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방음재료를 사용하여 벽면, 천장, 바닥 등에 부착하거나 적층시켜 방음 효과를 높입니다. 또한, 사운드프루핑(Soundproofing) 기술을 이용하여 소리를 차단하는 것도 방음에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방음은 주로 스튜디오, 콘서트 홀, 공연장, 녹음실, 영화관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외에도, 가정집에서는 방음 시공을 통해 외부의 ..
2023. 4. 16.
음향이론14. 잔향 (Reverberation) , 잔향 시간(Reverberation Time)
잔향(Reverberation)은 음악이나 음성이 발생한 후, 장소 내 벽면, 천장, 바닥 등에서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면서 생기는 음향의 반향을 말합니다. 음악이나 음성이 발생한 후, 먼저 발생한 음파는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잔향은 반사되어 몇 초 이내에 여러 번 반복되어 들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잔향은 공간의 크기, 재질, 모양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잔향은 음향 기기나 녹음 스튜디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음향 기기에서 재생된 음악이나 음성은 잔향 효과를 적용하여 더욱 생동감 있게 들리도록 처리됩니다.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잔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공간감을 더해주는 등의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잔향은 음악이나 음성의 명료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
2023. 4. 11.
음향이론9. 청각피질 (Auditort Coterx) , 마스킹 효과,칵테일 파티 효과,청각주의사항
청각피질 Auditory Cortex : 오디토어리 코어텍스 실제 귀에 해당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이전에 설명된 청각기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 된 신호가 뇌로 전달되어 작동합니다. 이것은 심리음향의 부분입니다. 청각피질은 대뇌 피질의 일부로,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구조물입니다. 청각피질은 두 개의 주요 구역으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일차 청각피질로, 이곳에서는 청각 신호가 받아들여지고, 주파수, 진폭, 음압 등의 특성이 분석됩니다. 두 번째는 이차 청각피질로, 이곳에서는 청각 신호가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음악, 언어, 음성 등과 같은 차원에서 더 복잡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청각피질은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청각 신호를 통해 우리가 언어, 음악, 소리 등을 인식하고 이해..
2023.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