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향(Sound)/음향 이야기52 음향이론23. 마이크 지향성 (microphone directional) 마이크 지향성 (Microphone directional) : 마익러포운 더렉셔널 마이크의 지향성은 마이크가 수집하는 음향 신호의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마이크의 지향성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 무지향성 마이크 (Omni-directional microphone): 마이크의 지향성이 없이 주위 모든 방향에서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입니다. 2. 단일 지향성 마이크 (Uni-directional microphone): 마이크의 지향성이 일방향으로 향한 마이크입니다. 일반적으로 주로 쓰이는 지향성으로는 "카디오이드(Cardioid)"가 있습니다. 3. 양지향성 마이크 (Bi-directional microphone): 마이크의 지향성이 두 방향으로 향한 마이크입니다. 이러한 마이크는 녹음 .. 2023. 5. 4. 카디오이드 종류 에대해서 카디오이드 종류 카디오이드란, 마이크로폰의 수신 패턴 중 하나로, 전방을 중심으로 수신 감도가 높아지는 패턴을 말합니다. 이러한 패턴은 마이크로폰의 전방에서 소리를 수신하는 데 가장 적합하며, 주로 라이브 공연의 보컬 마이크로폰 등에서 사용됩니다. 카디오이드 외에도슈퍼 카디오이드(Super-cardioid), 하이퍼 카디오이드(Hyper-cardioid) 등 다양한 수신 패턴이 있습니다 슈퍼 카디오이드(Super-cardioid) 슈퍼 카디오이드(Super-cardioid)는 카디오이드(Cardioid)보다 더 좁은 각도로 전방에 수신감도가 높아지는 패턴입니다. 주로 극장이나 스튜디오에서 배경음악이나 악기를 녹음할 때 사용됩니다. 이 수신 패턴은 전방으로부터 약 115도까지 수신 가능하며, 전방의 소리를.. 2023. 5. 3. 무대음향 3급 필기 2023년 필기접수 및 5년간 문제 유형(18년~22년) (동영상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어찌 됐건 저 같은 경우는 지금 최근에 한 작업은 5년 치 시험 기출 문제를 가지고 한 번씩 다시 한 번 풀어보면서 어떤 문제가 나왔나라는 것들을 한번 분석을 해봤습니다. 5년 치에 대한 자료를 분석을 해봤고요 물론 이거는 다른 분이 보시면 관점이 약간 틀려서 몇 가지 내 생각은 그게 아닌데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제 관점으로 총 40문제 45 20 2000문제에 대한 유형을 약간 분석을 해서 어떤 문제가 자주 나왔나라는 걸 분석을 해봤는데요. 첫 번째 가장 먼저 나왔던 문제 유형은 5년 동안이요 소리의 현상 소리의 현상이라고 그러면 회절 이런 굴절 이런 거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그렇죠 소리 현상 소리가 어떻게 현상되는지 공연장에서 어떻게 현상되는지 자연계에서 어떻게 현상이.. 2023. 5. 2. 하울링 (howling)이란 무엇인가? 하울링(howling) 하울링(howling) 은 스피커나 마이크에서 소리가 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 현상 중 하나입니다.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면 마이크가 잡아들여 다시 스피커로 전달되는데, 이런 과정에서 신호가 반복적으로 증폭되고 감쇠되면서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불규칙한 소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소리는 귀에 거슬리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특정한 필터링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하울링"은 다른 말로 "마이크로폰 노이즈(microphone noise)" 또는 "오디오 피드백(audio feedback)"이라고도 합니다. 하울링(howling) 의 원인 하울링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스피커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울 경우,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마이크로 쉽게 전달되.. 2023. 5. 2. 공진(Resonance) 해결 방법 , 공진현상 제거 , FFT(Fast Fourier Transform) 공진(Resonance) : 레저넌스 공진(共振, Resonance)은 특정 물체나 시스템이 일정한 주파수에서 진동이 크게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음향 분야에서는 특정 주파수에서 공기 진동이 반복되면 특정 음파가 증폭되어 음량이 커지는 현상을 공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공진은 스피커나 마이크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공간 구조나 물체의 진동 등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공진은 원래의 소리를 왜곡시키거나, 불필요한 잡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와 마이크의 위치, 방의 구조, 방음 처리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음향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공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특정 물체나 시스템이 일정한 주파수에서 공명하는 현상 때문입니다. 이러한 공진은 방.. 2023. 5. 2. 룸 이퀄라이제이션(Room Equalization) , 엠비언스(Ambience) 룸 이퀄라이제이션(Room Equalization) 룸 이퀄라이제이션(Room Equalization)은 스피커와 청취자 사이의 공간을 고려하여 음질을 보정하는 기술입니다. 방의 크기, 형태, 재질 등에 따라 음향 파장이 반사, 흡수, 감쇠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음질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룸 이퀄라이제이션은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보정하여 최대한 원래의 소리와 유사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룸 이퀄라이제이션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신호처리(DSP)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이를 위해 룸 이퀄라이저(Room Equalizer)라는 전용 장비를 사용하거나, 스피커나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의 장비에 내장된 룸 이퀄라이제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룸 이퀄라이제이션은 .. 2023. 5. 1. 엔클로져(Enclosure)란 무엇일까? Enclosure(엔클로져) Enclosure(엔클로져)는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나 기계 등의 부품이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나 하우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케이스나 스피커의 하우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Enclosure는 부품이나 회로를 먼지나 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 충격이나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외부 잡음이나 방해를 줄이고, 안정적인 작동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부품이나 회로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음향 분야에서 Enclosure(엔클로져)는 스피커 혹은 마이크로폰을 보호하고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케이스나 하우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Enclosure는 스피커 혹은 마이크로폰이 발생시키는 소리를 적절히 조절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2023. 5. 1. 음향이론22. 마이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phone) 마이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phone) 마이크로폰의 특성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빠른 응답 속도(Fast response time) - 마이크로폰은 소리를 빠르게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합니다. 따라서 빠른 응답 속도는 정확한 음향 신호를 재현하는 데 중요합니다. 2.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 마이크로폰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잘 감지하고,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좋은 마이크로폰은 넓은 주파수 대역을 잘 감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민감도(Sensitivity) - 민감도는 마이크로폰이 감지하는 음향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민.. 2023. 4. 29. 마이크 사양 알아보는 방법 / 마이크 사양의 중요성 /LCT540 S 사양 마이크 사양 (Microphone Specifications) : 마익러포운 스페서퍼케이션즈 마이크 사양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마이크 제조사의 웹사이트에서 제품명 또는 모델명으로 검색하여 제품 스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마이크 판매 웹사이트에서도 제품 스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의 민감도(sensitivity) , 최대 SPL, 지향성(Directivity),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등의 사양 정보가 제공됩니다. 또한, 마이크의 패키지 상자나 제품에 붙어있는 라벨 등에서도 사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 사양 정보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제공됩니다. 1. Frequency response(주파수 응답) .. 2023. 4. 29. 갖고싶은 음향책들 목록 공간음향 쪽 라이브사운드쪽 교회음악쪽 음향기기역사 음향시스템설계 2023. 4. 27. 음향이론21. 마이크의 종류 (Type of microphone) 다이내믹 마이크(Dynamic microphone) , 리본 마이크(ribbon microphone) , 컨덴서 마이크 (condenser microphone) / 팬덤파워(Fandom power) 마이크의 종류 (Type of microphone) 마이크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작 원리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다이내믹 마이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이크입니다. 소리를 받아들이는 부분이 전자기장에 의해 움직이는 다이나믹 코일을 사용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단순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소리에 대한 처리가 가능합니다. 2. 컨덴서 마이크: 민감한 마이크로, 진동판이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컨덴서 캡슐을 사용합니다. 민감하고 자연스럽게 음악적인 성격을 가지며, 높은 주파수 응답이 가능합니다. 3. 리본 마이크: 다이내믹 마이크의 한 종류로, 다이나믹 코일 대신 리본 진동판을 사용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민감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가지며, 음악 녹.. 2023. 4. 27. 음향이론20. 마이크로폰 (Microphone) , 크리스탈 마이크(Crystal microphone)와 카본 마이크(Carbon microphone) 마이크로폰 (Microphone)마이크로폰은 음향을 소리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입니다.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으로 음악 공연, 녹음, 방송, 연설 등에서 사용됩니다. 마이크로폰은 다양한 종류와 용도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이나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리본 마이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소리를 수집하고 소리 신호 변환합니다. 크리스탈 마이크(Crystal microphone)와 카본 마이크(Carbon microphone) 크리스탈 마이크(Crystal microphone)와 카본 마이크(Carbon microphone)는 둘 다 전기 신호를 만들기 위해 음파를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마이크입니다. 그러나, 둘은 다른 기술을 사용합니다. 크리스탈 마이크는 음파를 수신하는 크리스탈을 이용.. 2023. 4. 25. 사운드 엔지니어 단편소설 Knob & Fader (노브 & 페이더) 2 노브 & 페이더 (Knob & Fader) 소개 사운드 엔지니어링 단편 소설인 Knob & Fader는 저자 장호준의 음향 시스템 핸드북에 기재된 소설 입니다. 현장에서 벌어지는, 또는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재미있는 소설 형식으로 담아냈습니다. 기술적인 내용도 담겨 있어, 엔지니어링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직 현장일을 경험하지 못한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제 2편 _ 부재 _ "녹음실의 기사" 우연히, 특별한 일없든 새파랬던시절 친구 따라 가본 곳이 녹음실이었다. 88년이였나? 맞네, 그떄였구나, 그친구 이름이 뭐였지? 생각 안 나네.. 하여간 어떤 목표가 있어서 갔던건 전혀 아니었고, 아니전혀 그런직업이 있는지도 몰랐다. 팝이나 가요테잎을 사도 전혀 크레딧에.. 2023. 4. 23. 음향이론19. 방진 (vibration-proof) ,잭업 플로팅 시스템(Jackup Floating System) 방진(vibration-proof) 방진(vibration-proof) 이란, 소리가 건물 내부나 방 안에서 반사되거나 흡수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소리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방진은 일반적으로 음악 연습실, 녹음 스튜디오, 영화관 등에서 사용됩니다. 방진을 위해서는 먼저 제스처(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열재로 벽, 천장, 바닥에 단열재를 사용하거나, 스프링 마운트나 에어 스프링 등의 진동 차단 장치를 사용하여 진동을 완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또한, 방진을 위해 각종 구멍이나 조인트 등에 적절한 밀폐재를 사용하여 누출되는 소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방음용 도어를 사용하거나, 창문에 이중 유리를 사.. 2023. 4. 22. 사운드 엔지니어 단편소설 Knob & Fader (노브 & 페이더) 1 노브 & 페이더 (Knob & Fader) 소개 사운드 엔지니어링 단편 소설인 Knob & Fader는 저자 장호준의 음향 시스템 핸드북에 기재된 소설 입니다. 현장에서 벌어지는, 또는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재미있는 소설 형식으로 담아냈습니다. 기술적인 내용도 담겨 있어, 엔지니어링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직 현장일을 경험하지 못한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제 1편 _ 부재 _ 녹음실에서의 하루 "거기..거기 두 마디 앞부터틀어주시면 됩니다” 그러곤 그는 데스크에 있는 토크백 버튼을 눌렀다. “자.다 끝나가니까 조금만 더 신경쓰자고..손을 아예 머리에 올리고 노래해 보자고..피곤해지니까 피치가 좀불안하네.. 호흡 충분히 하고..” 침 너머 팝필터 뒤에 보이는 얼.. 2023. 4. 20.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