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Music)/음악이야기

라틴팝💃🏻은 왜 대세 음악이 되었을까 I 현재 가장 핫한 음악 라틴팝 Latin Pop이야기

by 치키치키박 2025. 2. 8.
728x90
반응형

 

유튜브 / 뮤직메카

 

 

라틴팝의 대세화 배경

  • 히스패닉 인구: 미국에서 히스패닉 인구는 현재 19%에서 20%를 차지하고 있다.
  • 인구 증가 원인:
    • 출생률 증가
    • 이민자 증가
  • 히스패닉 정의:
    •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 아메리카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 라틴 음악의 정의: 라틴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이 하는 음악을 라틴 음악이라고 부른다.

라틴 음악의 기원과 발전

  • 문화적 혼합:
    • 라틴 아메리카는 원주민,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식민지 지배,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 등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있다.
  • 라틴 음악 형성:
    • 다양한 인종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라틴 음악을 형성한다.
  • 주요 음악 장르:
    • 브라질의 삼바 보사노바
    • 쿠바의 룸바 만보
    • 아르헨티나의 탱고, 살사, 볼레로 
  • 라틴 음악의 분류: 이러한 음악들은 모두 라틴 음악으로 분류된다.

1960년대 라틴 음악의 미국 진출

  • 라틴 음악의 팝 음악계 진출:
    • 5, 60년대에 라틴 음악이 본격적으로 미국 팝 음악 시장에 스며들기 시작한다.
  • 주요 아티스트:
    • 세르지오 멘데스, 티토 푸엔테, 안토니오 로스 조빔 등의 아티스트가 라틴 재즈 기반의 음악을 선보인다.
  • 장르의 결합:
    • 6, 70년대에는 라틴 음악이 록과 팝 요소들을 결합하게 된다.
  • 그라미 어워드:
    • 이 시기에 그라미 어워드에 라틴 음악 부분이 신설된다.

1990년대 라틴 팝의 폭발

  • 라틴 팝의 시작:
    • 1990년대 후반, 리키 마틴이 라틴 팝의 폭발을 알린다.
  • 리키 마틴의 성과:
    •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The Cup of Life"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는다.
    • 1999년 첫 앨범 "Livin' la Vida Loca"가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한다.
  • 산타나의 성공:
    • 1999년, 카로스 산타나가 이끄는 밴드가 "Supernatural" 앨범으로 빌보드 차트에서 큰 성공을 거둔다.
  • 라틴 그레미 어워드:
    • 2년 후, 라틴 그레미 어워드가 시작되면서 라틴 팝의 위상이 더욱 높아진다.

현대 라틴 팝의 변화와 성장

  • 장르의 다양화:
    • 2010년대 후반, 라틴 팝은 힙합, EDM, R&B 등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발전한다.
  • 인터넷과 스트리밍의 영향:
    • 인터넷과 유튜브의 발달로 라틴 음악의 접근성이 높아진다.
  • 루이스 폰시의 "Despacito":
    • 이 곡은 비영어권 노래임에도 불구하고 빌보드에서 16주 동안 1위를 기록한다.
  • 레게톤의 부상:
    • 레게톤은 라틴 음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는다.

배드 버니의 영향력

  • 배드 버니의 출신:
    • 푸에르토리코 출신으로, 미국 시민권을 가질 수 있어 미국 진출이 용이하다.
  • 스페인어 가사 사용:
    • 배드 버니는 스페인어가 자신을 잘 표현하는 언어라고 생각하여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스포티파이 성과:
    •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연속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아티스트이다.
  • 앨범 성과:
    • 그의 세 번째 앨범은 빌보드 20위에 오르고, 그램미 올해의 앨범 후보에 오른 최초의 스페인어 앨범이다.

배드 버니의 음악적 성과

  • 라틴 트랩 장르:
    • 배드 버니의 음악은 라틴 트랩으로 분류된다.
  • 하이브리드 스타일:
    • 라틴 트랩은 라틴 음악의 하이브리드 스타일 중 하나로, 랩과 싱글을 결합한 특징이 있다.
  • 콜라보레이션 변화:
    • 과거에는 라틴 래퍼들이 미국 래퍼들과의 콜라보에 집중했으나, 배드 버니의 영향으로 이제는 그 반대가 되었다.
  • 프로레슬링 팬:
    • 배드 버니는 프로레슬링의 열렬한 팬으로, 유명 레슬러와의 협업 및 직접 참여를 보여준다.

푸에르토리코의 문화적 정체성

  • 푸에르토리코의 자부심:
    • 배드 버니는 푸에르토리코의 전통 음악을 선보이며 자부심을 드러낸다.
  • 사회적 주제:
    • 그의 음악은 푸에르토리코의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을 다룬다.
  • 정치적 배경: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함께 푸에르토리코 지사 선거가 진행되며, 독립에 대한 주민 투표도 실시된다.
  • 단편 영화 공개:
    • 배드 버니는 앨범의 서사를 강조하기 위해 단편 영화를 공개한다.

라틴 팝의 글로벌화

  • 라틴 팝의 확산:
    • 라틴 팝은 글로벌한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
  • 한국에서의 수용:
    • 한국에서는 스페인어에 대한 이질감이 있지만, 라틴 음악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음악적 정체성:
    • 라틴 팝과 아프로 비츠는 각자의 음악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있다.
  • 글로벌 팝 음악의 필요성:
    • 진정한 글로벌 팝 음악이 되기 위해서는 음악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