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논리적 오류 개요
- 순환논법: 주장을 할 때 그 주장의 근거로 다시 그 주장을 사용하는 오류이다.
- 결론이 근거가 되고, 근거가 다시 결론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논증이 반복된다.
도박사의 오류
- 도박사의 오류: 과거의 독립적 사건이 미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잘못 생각하는 오류이다.
- 예시: 동전을 열 번 던져 모두 안면이 나왔다고 해서 다음에는 반드시 뒷면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 실제로 동전을 던질 때 앞면과 뒷면의 확률은 항상 **50%**이다.
매듭 자르기와 문제 해결
- 매듭 자르기: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논점 자체를 없애버리는 오류이다.
- 문제의 복잡성과 개선 가능성을 무시하는 방식이다.
- 예시: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는 식으로 상대방을 배제하는 태도이다.
거짓 딜레마와 선택지
- 거짓 딜레마: 선택지가 두 개뿐이라고 잘못 가정하는 오류이다.
- 실제로는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지만, A 아니면 B의 선택을 강요하는 방식이다.
전검 부정과 조건문
- 전검 부정 오류: 조건문에서 거짓일 때도 반드시 거짓이라고 잘못 추론하는 오류이다.
- 즉, "p이면 q"에서 p가 성립하지 않으면 q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 그러나 q가 성립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거짓 등가성과 비교
- 거짓 등가성: 서로 다른 두 대상의 피상적인 공통점만으로 그 둘을 동일하게 취급하는 오류이다.
- 실제로는 두 대상이 완전히 다르며, 더 많은 정보를 습득할수록 차이점이 분명해진다.
강조 오류와 의미 왜곡
- 강조 오류: 특정 단어나 부분을 강조함으로써 원래 의미를 왜곡하는 오류이다.
- 같은 문장이라도 강조하는 부분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거짓 원인과 인과관계
- 거짓 원인 오류: 어떤 사건의 원인이 아닌 것을 원인으로 여기는 경우이다.
- 특히, 원인으로 간주되는 사건이 문제의 사건보다 먼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한다.
- 단순한 시간적 순서를 인과관계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피장파장과 논쟁 흐리기
- 피장 파장의 오류: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지 않고 "너도 똑같잖아"라고 대응하여 논점을 흐리는 오류이다.
- 주장 자체의 타당성을 검토하지 않고, 상대방의 과거 행동을 지적하여 논의를 무효화하는 방식이다.
전통의 호소와 관습
- 전통의 호소: 과거부터 그래 왔으니까 지금도 그래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는 오류이다.
- 오래된 것이 자동적으로 옳거나 더 나은 선택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새로움의 호소와 최신성
- 새로움의 호소: 새로운 것이니까 더 좋다고 주장하는 오류이다.
- 최신 것이 무조건 더 나을 것이라는 잘못된 가정을 포함한다.
성급한 일반화
- 성급한 일반화: 적은 사례나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체를 일반화하는 오류이다.
- 작은 양의 데이터를 근거로 모든 경우에 동일하다고 결론짓는 것이다.
논점 이탈과 회피
- 논점 이탈: 핵심 논점에서 벗어난 이야기로 논의를 흐리는 오류이다.
- 상대의 주장이나 질문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새로운 주제를 던져 논의를 회피하거나 혼란스럽게 만드는 방식이다.
결합 오류와 일반화
- 결합 오류: 부분의 특성을 전체의 특성으로 잘못 일반화하는 오류이다.
- 예시: 요리에 들어가는 모든 재료가 맛있으니까 이 음식도 맛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분해 오류와 반대 일반화
- 분해 오류: 전체의 특성을 부분의 특성으로 잘못 일반화하는 오류이다.
- 예시: 요리가 맛있으니 들어가는 재료도 모두 맛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 따로따로 먹으면 맛이 없고, 다 다른 재료와 합쳐져야 비로소 맛있는 경우가 많다.
728x90
반응형
'잡다한이야기 > 꿀팁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모든 인지 편향 8분 정리 (0) | 2025.03.13 |
---|---|
모든 경제 용어 1분 요약 (0) | 2025.03.13 |
모든 간첩 1분 요약 (0) | 2025.03.13 |
퇴근 후 저녁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된 5가지 실천법 (0) | 2025.03.09 |
야망은 큰데 게으르다면, 이 영상 꼭 보세요 (1) | 2025.03.09 |